7년 만에 전국 협력체계 완성…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기반 마련

- 로복지공단, 7년간 지자체 협업으로 제도적 완성 단계 진입

2025-04-14     김현수 대학생 기자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근로복지공단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기반을 완성했다. 지난 2018년 강원특별자치도와의 첫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7년간 꾸준히 협약 범위를 확대해온 공단은, 2025년 4월 전북특별자치도와의 협약을 마지막으로 전국 단위 협업 체계 구축에 마침표를 찍었다.

 

전국 단위 협업의 의미... 단순 '협약' 넘어 '제도 전환점' 

@근로복지공단-지자체 업무협약 현황. /사진-고용노동부 보도자료

이번 협업체계 완성은 단순히 ‘협약이 체결되었다’는 행정적 성과를 넘는다. 그간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의 가입률이 낮은 영세사업장, 저소득 근로자, 자영업자, 예술인, 노무제공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제도적 보호망을 확대하려는 공단의 노력은, 각 지자체의 정책적 의지 및 예산 편성과 만나 실질적 사회안전망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공단은 고용·산재보험료 부담으로 가입을 기피하는 영세 사업주를 위해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의 협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각지대 해소를 시도해왔다. 하지만 예산 집행 권한이 있는 지방정부와의 유기적 협력 없이는 구조적인 해소가 어려웠다.

 

이에 공단은 강원도를 시작으로 각 지자체의 재정 상황과 정책 기조에 맞는 지원모델을 설계·제안해 왔고, 그 결과 전국 모든 광역지자체가 참여하는 정책 협업 네트워크가 완성됐다.

 

 

지자체별 맞춤형 지원 유형 구성

 2025년 4월 기준, 고용·산재보험료 지원 방식은 지자체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광역지자체 사회보험료 지원 사업 현황. 지자체가 사업주, 근로자 부담분 보험료를 지원하고, 공단은 지원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제공. /사진-고용노동부 보도자료

공단은 지자체가 사업주·근로자 부담분 보험료를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 제공, 사업 성과 예측, 모델 설계 자문 등 행정· 기술적 뒷받침도 함께 해왔다.

 

 

정책 성과 지표로 본 실효성... 가입자 수 235만 명 증가

정책 효과는 수치로도 나타난다. 산재보험 가입자 수는 2018년 말 기준 1,907만 명(265만 개 사업장)에서, 2024년 말 2,142만 명(300만 개 사업장)으로 약 235만 명이 증가했다. 이는 단순히 수치 이상으로, 지역 기반의 사회안전망 강화화 경제 활성화 기반 마련이라는 정책적 의미를 지닌다.

 

 

'지속 가능한 협업'과 '취약계층 맞춤 보장 확대'

@지난해 4월, 박종길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오른쪽)과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왼쪽)가 제주도청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노용노동부 보도자료

근로복지공단 박종길 이사장은 “앞으로도 지자체와의 협업을 더욱 강화하여 일하는 모든 사람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고용ㆍ산재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취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향후에는 단순한 협약 체결을 넘어, 지속가능한 예상 운영, 취약계층 맞춤형 보장 강화, 지역별 특수 직역 대상자에 대한 집중 지원 등으로 협업 수준을 더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