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디자인 합시다 - 3부] 건강을 디자인할 때 고려사항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의학의 발전과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사망률은 크게 줄었지만, 건강과 삶의 질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기대수명이 증가했지만, 노년층의 만성질환과 신체적 제약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해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 건강 관리를 설계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주간 목표를 설정하거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매일 10분 명상을 실천하는 것처럼 작지만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통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건강을 디자인하는 첫걸음은 개인적인 선택이다. 자신에게 맞는 건강 관리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많은 사람이 정보 부족이나 변화의 어려움으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건강을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될 방법을 소개한다.
건강 지식 습득의 중요성
자신의 몸과 건강을 이해하는 것이 첫걸음이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건강증진개발원의 건강온 등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앞으로 식단이나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건강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체계적인 건강 기록 관리
자신의 건강 기록을 관리하고, 가정용 기기나 앱을 활용해 건강 지표를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 기록 관리를 통해 병력, 복용 약물, 알레르기, 예방 접종 이력 등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가정용 혈압계, 혈당 측정기, 스마트워치 등을 활용해 정기적으로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체중 감량, 혈압 조절, 근육량 증가 등 건강 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앞으로 건강 기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건강 체크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나 앱을 예시로 들어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건강한 식단, 신체 활동, 충분한 수면을 포함한 생활 습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루 30분 이상의 운동과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명상이나 취미 활동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해로운 생활 습관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의료 시스템과의 협력
의료 시스템은 단순한 치료를 넘어 파트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예방 접종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의사와의 상담 시 적극적으로 질문하여 의료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료 기관을 방문할 때 반드시 준비해야 할 질문 목록이나 진료 시 유용한 정보를 소개하여,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건강 공동체와의 연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협력하여 동기 부여를 받고, 건강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다.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사람들과 운동, 식단, 건강 관리 팁을 공유할 수 있다.
헬스 앱, 건강 포럼,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건강 정보를 교류하고, 목표를 함께 실현할 파트너를 찾는 것이 좋다. 오프라인에서도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모임에 참여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지속 가능한 자기 관리 시스템 구축
건강 관리의 핵심은 꾸준함이다.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여 장기적인 동기 부여와 자기 관리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매일 10분 산책하기, 신선한 과일을 추가로 섭취하기, 하루에 물 한 잔 더 마시기 등의 작은 실천을 통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
건강은 한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작은 실천이 쌓이면, 평생 건강을 위한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건강을 자기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 자료
1) Burger, O., Baudisch, A., & Vaupel, J. W. (2012). Human mortality improvement in evolutionary contex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44), 18210–18214. https://doi.org/10.1073/pnas.1215627109
2) He, W., Goodkind, D., & Kowal, P. (2016). An Aging World: 2015 (International Population Reports No. P95/16-1) (pp. 1–175). US Census Bureau. Retrieved from https://www.census.gov/content/dam/Census/library/publications/2016/demo/p95-16-1.pdf
3)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자료
4)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유방암과의 동행'
5)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