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하게 일하기 31부 - 왜 실행력이 부족할까? 2가지 핵심 원인과 개선 포인트

2024-11-07     류랑도 자문 위원
ⓒ이미지-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생성 책임자: 김희경), Gammas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제대로 실행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이 있다. 실행력이 부족한 이유를 분석해보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기대하는 결과물의 기준에 대해 수요자와 합의하여 구체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목표의 구체화와 성과 창출 전략을 실행 책임자가 아닌 상사가 수립한다는 점이다. 즉, 수립 주체가 상사라는 것은 업무 회의나 보고를 핑계로 상위 리더가 실행 방향이나 방법에 개입한다는 뜻이다.

 

목표나 전략을 설정할 때 실행할 사람이 현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자기주도성과 열정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이 외에도 실행력이 떨어지는 이유로는 기간별 캐스케이딩의 부족과 과정 성과 평가 및 피드백의 부족이 있다. 실행력 저하의 또 다른 원인은 실행자의 관점에서 기획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행자에게는 구체적인 목표, 성과 목표의 조감도, 인과적 성과 창출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실행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실행자의 생각이 반영되지 않은 목표와 전략, 실행 계획 때문이다. 상위 리더의 엄한 지시와 잦은 체크, 닥달만으로는 실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실행자가 과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성과 목표 조감도를 세워도 실행이 제대로 될까 말까 한데, 상사가 과업과 목표를 제시하고 실행 지침과 과정에까지 관여한다고 해서 실행이 잘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행자가 일의 중요성을 충분히 수긍한다고 해도 그렇다고 실행이 잘되는 것은 아니다.

 

부여받은 미션과 실행해야 할 과업에 대한 현황 파악, 성과 목표 조감도 작성, 상태적 목표(Objective) 설정, 인과적 성과 창출 전략 수립, 기간별 캐스케이딩과 과정 목표 수립 주체는 반드시 실행자가 되어야 한다. 상위 리더, 즉 일을 시킨 사람은 기준 검증 작업인 성과 코칭을 해야 한다.

 

실행력은 기획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실행력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실행을 담당할 사람이 성과 목표와 인과적 성과 창출 전략을 현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주체적으로 계획할 때 비로소 발휘된다. 리더는 이를 기준 검증을 통해 확인하는 성과 코칭을 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