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정부-산업계 협력, '안전문화혁신포럼'에서 첫발을 내딛다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 이하 안전보건공단)이 공동 주최한 '제1차 안전문화혁신포럼'이 이날 3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대형 사고 예방을 위한 기업의 안전문화 정착을 목표로, 주요 업종의 대표 기업들이 모여 효과적인 안전 경영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경총과 안전보건공단은 이번 포럼을 통해 정부와 산업계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안전문화를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법적·기술적 안전 조치에서 안전문화로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경총 이동근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안전을 기업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고, 중대재해 예방과 사업장의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아직까지 중대재해 감축은 더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동근 부회장은 이어 “이러한 정체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법적인 안전, 기술적인 안전을 뛰어넘어 안전문화, 의식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전보건공단 안종주 이사장도 “산업현장의 안전 의식과 관행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어 온 만큼 단기간에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우리나라가 산업안전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생명과 안전을 중요시하는 안전문화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이사장은 “산업현장의 변화와 안전보건”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색이 주는 정보의 중요성과 색상을 통한 작은 변화가 산업현장에서 안전을 위한 강력한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작은 실천부터 시작할 것을 강조했다.
SK하이닉스·현대자동차, 안전문화 우수사례 발표
이날 포럼에서는 SK하이닉스와 현대자동차가 각자의 안전문화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정책과 점검, 기술적 방호 등 기존 안전관리 방식으로써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바로 '안전문화'로, 구성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안전관리 문화 정착을 위해 '23년부터 소통하고 참여하는 다양한 안전문화 활동을 추진하며 SK하이닉스만의 지속가능한 안전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구체적으로 ▲안전문화 조직 구성 ▲리더 중심의 안전문화 형성 ▲구성원의 상시 참여 ▲안전문화 수준 평가 등 4가지 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안전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특히 자체 개발한 ‘HSCA(하이닉스 안전문화수준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약 1만 명의 응답 데이터를 통해 안전문화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점을 발굴해 나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안전 최우선을 넘어 안전은 기본이라는 가치를 전직원이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안전문화 조성활동을 지속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선도기업 위상에 맞는 안전관리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 Fast Follower에서 First Mover로 안전 패러다임 전환을 임직원들에게 전파해 나가고 있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는 매년 상·하반기 안전강조주간을 운영하며, 임직원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모바일 신문고, Safety 포인트 챌린지 등을 통해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 고유 안전 브랜드’를 제작해 2026년부터는 전 직원의 안전 의식 고취 및 내재화를 목표로 현장 전파 및 홍보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안전문화혁신포럼, 지속적인 협력의 장으로 발전
'안전문화혁신포럼'은 반기마다 개최되며, 정부·기업 간 안전문화중심의 경영 관련 정보 교류를 확대하고,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촉진 등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제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경총은 “안전문화혁신포럼 뿐만 아니라 오는 12월 개최예정인 제1회 안전문화혁신대상 시상과 현재 개발 중인 안전문화경영 평가지표 보급을 통해 산업계 전반에 안전문화 확산 풍토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