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꺼짐 사고' 미리 막는다 ,, '위험구간 지하 빈 공간 찾기' 단계적 확대 진행
- 땅꺼짐 사고 선제 예방 위해 위험구간 지하 빈 공간 찾기 후 안전관리 진행 ,, - '24년에는 확대해 2,200km까지 탐사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땅꺼짐(지반침하) 사고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 집중호우 지역과 지반침하의 우려가 큰 도로·인도 총 1,665km(524개소)에 대한 지반탐사를 실시 결과, 78개 지하 빈 공간을 발견하고 각 지자체에 선제적 안전관리를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년간 땅꺼짐 사고 선제 예방 위해 위험구간인 지하 빈 공간을 찾고 안전관리를 진행했다. 지반탐사는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로 지표 아래 최대 3m를 탐색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지하 빈 공간 유무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 8월 서울 잠실에서 발생한 땅꺼짐 사고 이후 '지반 침하 예방 대책'을 세우고, 최근 9년 동안 총 7,886km 구간에 대해 지반 탐사를 진행했다. 특히, 본격적인 장마철인 8~9월에는 국지성 폭우지역과 지반침하 사고주변을 대상으로 선제적이고 신속한 상황관리를 위해 긴급 탐사를 실시했다.
더불어 올해는 전년대비 32%가 증가한 약 2,200km 구간에 대한 지반탐사를 실시하고, ’26년까지 연간 4,200km 이상 규모로 지반탐사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해당 지반탐사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26년까지 전 도로구간 중 약 15% 규모인 18,000km에 대한 지반탐사를 완료하게 된다.
국토부는 올해 12월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5년간 지하안전관리 패러다임을 선진화·스마트 관리로 전환하고 지자체의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용으로 지하에 매설된 고압가스·화학물질 이송 배관, 위험물 제조소·저장소·취급소를 「지하안전법」에 따른 지하시설물 범위에 추가하여 지하 위험요소에 대한 관리를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 김태오 기술안전정책관은 “지하안전관리는 잠재적 위험사고를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지자체와 협력하여 최우선 국정과제인 국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