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 중심 가뭄 상황 심각,, 주요부처 및 지자체 연합 '가뭄대책' 긴급점검 실시
-광주․전남․제주 가뭄대책 긴급 점검 및 적극적인 대처 주문 -행안부, 가뭄 피해 최소화 위한 수요조사 실시 및 특별 교부세 집행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식수 보급 문제나 재난 상황시 토질 상황 등으로 문제를 가중 시킬 수 있는 가뭄이 남부지방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어 급수 지원 및 가뭄피해 해결 대책 방안이 이뤄질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남부지방 가뭄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어 농식품부, 환경부 및 광주,전남,제주 3개 시․도의 가뭄대책을 긴급 점검하고 가뭄지역 급수지원 및 추가적인 대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정부는 남부지방의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 665㎜가 평년의 65.5%로 기상가뭄이 나타나고 내년 1월까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상가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5일 기준 전남도에 소재한 주암댐과 평림댐의 저수율은 각각 34.2%, 33.1%이며, 광주지역 주요 상수원인 동복댐은 32%로 2~3개월간 비가 오지 않을 경우 용수공급 지장이 우려되고 있다.
무강우가 지속될 경우 생활용수 공급 제한과 도서산간지역 비상급수 확대, 노지 밭작물의 생육 저하 및 생산량 감소 등 피해가 더욱 확산될 우려가 존재한다.
각 행정부처의 가뭄피해 해소 방안
행안부는 지난 9월 교부된 가뭄극복 특별교부세 60억 원이 빠르게 집행되도록 독려하고 남부지방 가뭄피해 해소를 위한 예산 수요를 추가 조사하여 다각적인 지원을 모색할 예정이다.
농식품부에서는 노지 밭작물 물 부족 우려 지역은 저수지, 양수장 등 가용 수자원을 활용하여 용수 공급을 지속 지원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내년 홍수기 전까지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다양한 가뭄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최적의 댐 운영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댐용수를 인근 수원에서 대체 공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남부지방 가뭄 상황을 지속 점검하여 정부 차원의 신속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과 지방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뭄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