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법 대응방안 6부- 위험요인의 제거
2022년 2월 11일 오전 전남 여천NCC 3공장에서 열교환기기 시험과정 중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사고의 규모는 작지만 4명이 숨지고 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열교환기 압력시험 도중에 발생한 사고였다.
여천 NCC의 하청업체인 영진기술은 열교환기 청소 작업을 마치고 기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압력시험을 하였다. 압력시험 중 열교환기 덮개가 이탈되었고, 교환기가 폭발했다. 영진기술은 2018년 8월 17일에도 여천NCC 1공장 BD공정에서 금번 사고와 같은 열교환기 청소후 덮개를 크레인으로 들어서 설치 중에 운전 중인 증류컬럼과 연결된 공기구동밸브가 열려서 증류컬럼 내부의 혼합 C4 가스 및 추출용제(DMF)가 누출된 사고이력이 있다.
유사한 작업에서 유사한 사고가 계속하여 발생한다는 것은 표준작업절차서(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가 잘못되었다든지, 작업안전규정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8년 사고시 사고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하며 재발방지대책을 제대로 세웠더라면 유사한 사고는 다시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사업장내에서 위험요소를 발견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위험요인 제거는 당연히 크고 위험한 것부터 실시해야 한다. 위험요인 제거시 중요도를 결정하는데에는 많은 요소가 고려되나, 가장 큰 요소는 사고의 크기와 사고발생의 가능성이다.
사고의 크기는 위험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사람과 자산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는데, 근로자와 일반시민들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위험에 노출된 근로자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위험에 노출된 인원이 더 많을수록 사고발생 시 부상에 대한 위험도 커진다. 또한 사고로 인하여 일반 주민들에게 부상이나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심지어 냄새, 소음, 증기, 먼지 등의 작은 사고도 만성적으로 누적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화학플랜트는 중대사고에 의한 직접적인 설비손실보다 설비가동 중단에 의한 영업손실이 훨씬 더 크다. 한 화학공장에서 단위공정이 가동 중단되면 다른 공장의 생산공정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여천NCC사고는 물적 피해가 크지 않은 사고지만, 일단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상당 기간 동안의 영업정지가 예상되어 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업휴지위험은 물적피해가 수십배에서 수백배에 이를 수 있다.
사고발생 가능성은 사업장의 다양한 기술적인 측면과 관리적인 측면이 결합되어 산출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사고발생 가능성을 산출하는 방법에는 체크리스트(Check List), 상대 위험 순위 결정(Dow and Mond Indices), 작업자 실수 분석(HEA), 사고 예상 질문 분석(What-if), 위험과 운전 분석(HAZOP), 이상 위험도 분석(FMECA), 결함 수 분석(FTA), 사건 수 분석(ETA), 원인 결과 분석(CCA) 등 기술적인 위험성평가 tools들이 많이 있다.
관리적인 측면은 공장내 안전관리 시스템, 안전 조직, 하청업체의 관리능력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관여된다. 특히 대부분의 비정상적이고, 위험한 작업들은 하청업체가 수행하기 때문에 하청업체의 관리능력은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위험요인의 파악단계를 통해 파악된 위험은 위험기계, 유해인자, 위험장소, 작업형태 등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위험요소에 대해 산재사고 발생가능성과 중대성을 예측하여 위험의 정도를 평가한다. 평가결과에 따라 위험요소별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위험요인의 제거는 많은 방법이 있으므로 복수의 방안을 검토하며, 자체적으로 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가의 자문을 구한다.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개선은 ESTOPT(Elimination> Substitution> Technical measure> Organizational measu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raining)으로 적용해야 한다.
1) Elimination Elimination (제거)
- 위험원을 원천적으로 제거함
- 밀폐공간 내 작업이 필요 없도록 구조 변경 등 위험요소를 물리적으로 제거
2) Substitution (대체)
-위험원을 원천적으로 제거할수 없다면 덜 위험한 것으로 대체함
-메탄올을 에탄올로 대체하는 등 위험성이 낮은 위험요인으로 대체
3) Technical measure (공학적 조치)
- 공학적인 방법으로 위험을 감소시킴
- 방호장치의 설치, 환기장치 등을 통해 위험요소와 작업자를 격리
4) Organizational measure (조직적 조치)
- 관리적인 방법으로 위험을 감소시킴
- 작업절차서 정비, 작업허가제 도입 등 작업방법을 변경
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raining (보호구 착용, 교육)
- 보호구 착용
- 교육
리스크랩연구소 홈페이지링크:
http://www.riskla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