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관리의 위기- 스마트안전시스템의 구축필요
정부의 정책강화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사업장에는 유해위험요인이 곳곳히 노출되거나 잠재되어 있다. 안전사고가 날 때마다 고귀한 생명의 상실뿐만 아니라 공사중지, 가동중지로 인한 경영손실도 막대하다.
안전사고의 유해위험요인을 철저히 발굴하고 작업허가나 작업절차를 강화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 안전보건활동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위험요인은 누구나 쉽게 인식하고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의 행동은 통제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작업자의 안전의식 불감증, 안전수칙위반의 문제는 늘 고민거리다. 작업현장에서는 작업공정이 우선이기에 불편하고 거추장스럽다는 이유 등으로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
사소한 불안전한 작업자세, 일시적 안전수칙을 무시한 행동이 목숨을 잃는 큰 사고가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매 순간 작업자를 감시하거나 위험상황을 파악해 감독하기에는 한계성이 있다. 수많은 작업자의 행동반경, 위험동작, 안전수칙의 위반문제를 상시 관찰하고 통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위험상태를 놓치면 시간이 흐를수록 상황이 심각해진다. 그 결과 행동개시 시점에 따라 상황이 변하고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위험하거나 유해한 작업에 대한 엄격한 위험통제가 요구된다. 부족한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 서류중심의 안전보건관리의 실태를 개혁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안전보건관리의 현장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리방법의 유용한 수단으로 ICT스마트안전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사람에 의한 안전보건관리는 한계성이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다.
필자는 12년간 전자정부사업, 행정정보구축사업, 외교통상부 전자여권의 도입 및 시스템구축사업, 광교신도시개발 및 U-City 사업, 조달청 조달시스템 RFID구축사업, 교육부 학교조달시스템 구축사업 등에 참여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판단하건대, 이제는 안전보건분야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스마트안전은 안전보건관리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시스템적 관리방법을 말한다. 건설현장에서는 일용근로자의 출근시에 음주측정을 하거나 혈압측정을 하며, 건강이상자를 선별하기도 한다.
작업을 하기 전 안전수칙을 확인하고 보호구의 상태 및 착용 유무를 점검한다. 이렇게 안전수칙을 감독하지만 근로자가 안전모를 벗거나 안전대를 풀어도 감시자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
근로자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거나 위험작업의 반경 내에 진입을 하는 경우 한 순간에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유해가스가 노출되거나 근로자가 쓰러지더라도 다른 사람이 알 수 없어 제때 구출되지 못하여 생명을 잃는 질식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작업현장의 유해위험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통합적 감시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관리책임자나 안전관리자가 전자적 수단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개발해야 한다.
스마트안전시스템은 유해위험상황의 실시간 감지기능, 전자적 신호체계의 해석, 위험수준 및 단계적 경고, 실시간 알림, 데이터의 구축 및 위험통제 등을 전자적 방식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전사적 차원에서 안전보건관리를 할 수 있도록 ERP도 개발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의 안전모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안전모의 착용상태 감지 기능, 가슴에 붙이는 생체리듬 등 감지, 작업장의 진동 여부의 감지센서, 중장비의 감지센서, 사업장 출입 시의 신분확인 등 모든 기능을 시스템적으로 묶어 전자적 방식으로 통합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의 질식사고(2020. 5. 21,까지 연이어 4명이 질식사 망)도 유해가스의 노출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전자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진입금지 경보나 핸드폰으로 경고하는 정보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남는다.
스마트안전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유해위험요인조사, 위험성평가, 유해위험방지계획, 안전보건진단 등의 업무는 그대로 필요하다. 스마트안전시스템은 유해위험상황을 사전에 감지해 정보를 제공하며, 안전보건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여 관련 데이터구축을 통한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네이버 밴드: 산업안전보상연구회
https://band.us/band/74418670
Mobile : 010-5475-1155